-
목차
🛣️ 1. 하이패스 카드란?
하이패스 카드는 차량에 장착된 하이패스 단말기에 삽입하여 통행료를 자동 결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카드입니다.
결제 방식은 보통 후불(신용) 또는 선불(충전) 카드이며,
신용카드 기능을 탑재한 후불 하이패스 카드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.
🚗 2. 하이패스 할인카드 vs 기능 전용 카드의 차이
구분하이패스 기능 전용 카드하이패스 통행료 할인카드 (드물게 존재)기능 하이패스 단말기 작동 가능 하이패스 + 할인 가능 통행료 할인 ❌ 없음 (단순 결제 기능) ✅ 일부 카드에 한해 존재 (이벤트성) 대표 카드사 신한, KB, 현대, 삼성 등 일부 우리·롯데카드에서 제공하는 이벤트형 할인 대상 일반 운전자 통행료 지출 많은 사용자 대상 💡 현재 대부분의 카드사는 하이패스 기능만 제공하고, 통행료 할인 혜택은 별도로 제공하지 않습니다.
💳 3. 카드사별 하이패스 카드 정리 (기능/신청 링크 포함)
다음은 2025년 기준으로 실제 하이패스 기능이 탑재된 전용 카드 목록입니다.
통행료 할인 여부, 신청 방법, 기타 부가 혜택 여부도 함께 정리했습니다.카드사카드명하이패스 기능통행료 할인신청 링크신한카드 신한 하이패스카드 (신용/체크) ✅ ❌ 없음 신청하기 KB국민카드 KB 하이패스카드 (신용/체크) ✅ ❌ 없음 신청하기 현대카드 하이패스카드 (신용) ✅ ❌ 없음 신청하기 롯데카드 하이패스 플러스카드 ✅ ❌ 없음 (이벤트성 혜택 가능) 신청하기 삼성카드 하이패스 iD카드 ✅ ❌ 없음 신청하기 하나카드 원큐 하이패스카드 ✅ ❌ 없음 신청하기 우리카드 우리 하이패스카드 (체크) ✅ ❌ 없음 신청하기 ⚠️ 위 카드들은 단순히 ‘하이패스 단말기 작동용 카드’로써만 사용되며, 통행료 할인은 제공하지 않습니다.
🔋 4. 하이패스는 안 되지만 ‘교통/통행료’ 할인 있는 카드 (보조용 추천)
✅ 우리카드 에코카드 플러스
- 하이패스 기능 없음 ❌
-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할인
- 자동차 보험료·T맵 주차장 할인 등
- 추천 대상: 전기차 사용자
✅ KB 탄소제로 EV카드
- 하이패스 기능 없음 ❌
- 전기차 충전요금 10~15% 할인
- 자동차 관련 업종 포인트 적립
- 추천 대상: 충전비 절약이 필요한 EV 오너
✅ 롯데 하이패스 플러스카드 (혼합형)
- 하이패스 기능 있음 ✅
- 일부 대중교통, 통신요금 할인
-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은 없음
- 이벤트성 혜택이 있을 수 있음
🧠 5. 하이패스 카드 선택 팁
상황추천 카드하이패스 단말기 작동용 카드 필요 신한/국민/하나/삼성 하이패스 전용카드 전기차 혜택 + 교통비 할인 원함 우리 에코카드, KB 탄소제로 EV카드 통합 카드(하이패스 + 생활 할인) 원할 때 롯데 하이패스 플러스카드 할인보다는 기능만 원할 때 무조건 후불 하이패스 기능 카드 (단말기 작동만 가능) ✅ 하이패스 단말기에는 반드시 “하이패스 전용 카드”만 삽입해야 하며, 일반 신용카드는 인식되지 않습니다.
❓ 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하이패스 카드면 통행료 할인이 무조건 되나요?
→ ❌ 아닙니다. 대부분은 단순 후불 기능 카드이며, 통행료 할인은 없습니다.Q2. 하이패스 단말기에는 어떤 카드만 들어가나요?
→ 후불 하이패스 기능이 탑재된 전용카드 또는 선불 하이패스 카드만 가능합니다.Q3. 통행료 할인 가능한 카드 없나요?
→ 과거엔 일부 이벤트성으로 있었으나, 2025년 현재 기준 기본 할인은 거의 없습니다.Q4. 카드가 2개 있으면 어떻게 써야 하나요?
→ 하이패스 단말기에는 기능 전용 카드만 삽입하고, 생활/충전 혜택은 다른 카드로 결제하면 됩니다.'IT기기 및 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하이패스 카드 뭐가 좋을까? 종류별 비교 및 신청 방법 가이드 (0) 2025.04.06 엠피온 하이패스 SET-V270 리뷰|테슬라에도 완벽 호환되는 무선 하이패스 추천 (0) 2025.04.06 2025년 전기차 충전비 아끼는 꿀팁! 전기차 맞춤 신용카드 총정리 (0) 2025.04.05 전기차 충전, 급속이 답일까? 완속이 더 좋을까? 비교 분석 가이드 (0) 2025.04.04 전기차 요금 너무 비싸다구요? 충전요금 할인 꿀팁 정리 (0) 2025.04.04